• 1번째 이미지 새창
  • 2번째 이미지 새창

월사집, 부 - 백주집 현주집 (月沙集, 附 - 白州集 玄州集)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이정귀(李廷龜), 이명한(李明漢), 이소한(李昭漢)
상태 간기낙장
판매가격 7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이정귀 [李廷龜]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본관 연안(), 자 성징(), 호 월사() ·보만당() ·응암(), 시호 문충()이다. 1585년(선조 18) 진사가 되고, 1590년 증광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행재소()에 가서 설서()가 되었다. 이듬해 명나라 경략() 송응창()의 요청으로 《경서()》를 강의하여 학자로서 존경을 받았다.

그후 병조참지()가 되어 부제학()을 겸하였다. 1598년 명나라 병부주사 정응태()가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치려 한다고 자기 나라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조선국 변무주문()을 지어 진주부사(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응태를 파직시켰다. 《조천기행록()》을 간행했고, 1608년(광해군 즉위) 병조와 예조판서를 역임하였으나 1613년 계축옥사() 때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1615년 형조판서가 되고 1623년(인조 1) 예조판서가 되었다.

이듬해 이괄()의 난에 왕을 공주()에 호종하고 1627년 정묘호란 때 병조판서로 왕을 호종, 강화에 피난하여 화의에 반대하였다. 1628년 우의정이 되고 이어 좌의정에 올랐다. 한문학의 대가로서 글씨에도 뛰어났고 신흠()·장유()·이식()과 함께 조선 중기의 4대 문장가로 일컬어진다. 저서에 《월사집()》이 있고, 편저에 《서연강의()》 《대학강의()》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정구 [李廷龜]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