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상세설명
본관 연안(延安), 자 성징(聖徵), 호 월사(月沙) ·보만당(保晩堂) ·응암(凝菴), 시호 문충(文忠)이다. 1585년(선조 18) 진사가 되고, 1590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설서(說書)가 되었다. 이듬해 명나라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의 요청으로 《경서(經書)》를 강의하여 학자로서 존경을 받았다.
그후 병조참지(兵曹參知)가 되어 부제학(副提學)을 겸하였다. 1598년 명나라 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치려 한다고 자기 나라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조선국 변무주문(朝鮮國辨誣奏文)을 지어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응태를 파직시켰다.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을 간행했고, 1608년(광해군 즉위) 병조와 예조판서를 역임하였으나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1615년 형조판서가 되고 1623년(인조 1) 예조판서가 되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에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1627년 정묘호란 때 병조판서로 왕을 호종, 강화에 피난하여 화의에 반대하였다. 1628년 우의정이 되고 이어 좌의정에 올랐다. 한문학의 대가로서 글씨에도 뛰어났고 신흠(申欽)·장유(張維)·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의 4대 문장가로 일컬어진다. 저서에 《월사집(月沙集)》이 있고, 편저에 《서연강의(書筵講義)》 《대학강의(大學講義)》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정구 [李廷龜]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