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째 이미지 새창
  • 2번째 이미지 새창

연평유사 전4책 (延平遺事 全4冊)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이귀 저 / 이병구 편
출판연도 1987년 2월
출판사 보련각
상태 100질 한정판
판매가격 30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이귀 [李貴] 1557(명종 12)∼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 자는 옥여(), 호는 묵재(). 세조조의 문신 석형()의 5대손으로, 대호군 이수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기()이고, 아버지는 증 영의정에 추증된 이정화()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로, 청송부사 권용()의 딸이다.


이이(), 성혼()의 문하에서 수학해 문명을 떨쳤으며, 1582년(선조 15) 생원이 되었다. 이듬 해 일부 문신들이 이이와 성혼을 공박, 모함해 처지를 위태롭게 만들자 여러 선비들과 함께 논변하는 글을 올려 스승을 구원하였다.

1592년 강릉참봉()으로 있던 중 왜적의 침입으로 어가()가 서행(西)한다는 소식을 듣고, 제기를 땅에 묻고 능침에 곡읍한 후 물러 나와 의병을 모집해 황정욱()의 진중으로 갔다가 다시 어가가 주재하는 평양으로 가서 죄를 청하고 방어 대책을 아뢰었다.

이어 이덕형().이항복() 등의 주청으로 삼도소모관()에 임명되어 군사를 모집, 이천으로 가서 세자를 도와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였다. 이듬 해 숙천 행재소로 가서 왕에게 회복 대책을 올려 후한 상을 받고, 다시 삼도선유관()에 임명되어 군사 모집과 명나라 군중으로의 군량 수송을 담당하였다.

그는 체찰사 유성룡()을 도와 각 읍으로 순회하며 군졸을 모집하고 양곡을 거두어 개성으로 운반해서 서울 수복전을 크게 도왔다. 그 뒤 장성현감·군기시판관()·김제군수를 역임하면서 난후 수습에 힘썼다.

1603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형조좌랑·안산군수·양재도찰방()·배천군수 등을 차례로 지냈고, 1616년(광해군 8) 숙천부사로서, 해주목사에게 무고를 받고 수감된 최기()를 만난 일로 탄핵을 받아 이천에 유배되었다. 1619년에 풀려나와 1622년 평산부사가 되었으나 광해군의 난정을 개탄하고, 김류()·신경진()·최명길()·김자점() 및 두 아들 시백()·시방() 등과 함께 반정 의거를 준비하였다.

이듬 해 3월광해군을 폐하고 선조의 손자인 능양군 종()을 왕으로 추대, 인조반정에 성공해 김류·이서()·심기원()·김자점·신경진·최명길·이흥립()·심명세()·구굉() 등과 함께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그 뒤 호위대장()·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우참찬·대사헌·좌찬성 등을 역임하고, 연평부원군()에 봉해졌다.

그 동안 남한산성의 수축, 호패법의 실시, 무사의 양성, 국방 강화 등을 건의해 국력 충진에 힘썼다. 1626년(인조 4) 병조·이조의 판서를 지내고, 이 해에 김장생()과 함께 인헌왕후(: )의 상기를 만 2년으로 할 것을 주장하다가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하였다.

이듬 해 정묘호란 때에는 왕을 강화도에 호종해 최명길과 함께 화의를 주장하다가 다시 탄핵을 받았다. 당쟁이 치열하고 명·청 관계의 외교가 복잡한 시기에 나라를 위해 크게 공헌하였다. 저서로는 『묵재일기』 3권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귀 [李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