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째 이미지 새창
  • 2번째 이미지 새창

추강선생문집 (秋江先生文集)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남효온
출판사 창문각
상태 간기낙장
판매가격 45,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남효온 [南孝溫] 1454(단종 2)∼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백공(), 호는 추강()·행우()·최락당()·벽사(). 영의정 남재()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남준()이고, 아버지는 생원 남전()이며, 어머니는 도사 이곡()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며, 김굉필()·정여창()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인물됨이 영욕을 초탈하고 지향이 고상하여 세상의 사물에 얽매이지 않았다. 김종직이 이름을 부르지 않고 반드시 ‘우리 추강’이라 했을 만큼 존경했다한다. 주계정()·이심원()·안응세() 등과 친교를 맺었다.

1478년(성종 9)성종이 자연 재난으로 여러 신하들에게 직언을 구하자, 25세의 나이로 장문의 소를 올렸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의 혼인을 제때에 치르도록 할 것, 둘째 지방 수령을 신중히 선택, 임명하여 민폐의 제거에 힘쓸 것, 셋째 국가의 인재 등용을 신중히 하고 산림()의 유일(: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는 학식이 높은 선비)도 등용할 것, 넷째 궁중의 모리기관()인 내수사()를 혁파할 것, 다섯째 불교와 무당을 배척하여 사회를 정화할 것, 여섯째 학교 교육을 진작시킬 것, 일곱째 왕이 몸소 효제()에 돈독하고 절검()하여 풍속을 바로잡을 것, 여덟째 문종의 비 현덕왕후()의 능인 소릉()을 복위할 것 등이다.

소릉 복위는 세조 즉위와 그로 인해 배출된 공신의 명분을 직접 부정한 것으로서, 당시로서는 매우 모험적인 제안이었다. 이 때문에 훈구파()의 심한 반발을 사서 도승지 임사홍(), 영의정 정창손() 등이 국문할 것을 주장했다. 이 일로 인하여 정부 당국자들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었고, 세상사람들도 미친 선비로 지목하였다.

1480년 어머니의 명령에 따라 마지못해 생원시에 응시, 합격했으나 그 뒤 다시 과거에 나가지 않았다. 김시습()이 세상의 도의를 위해 계획을 세우도록 권했으나, 소릉이 복위된 뒤에 과거를 보겠다고 말하였다. 당시는 세조를 옹립한 정난공신()들이 집권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소릉 복위 주장은 용납되지 않았고, 다른 명목으로 박해하려 하였다.

그 뒤 벼슬을 단념하고 세상을 흘겨보면서, 가끔 바른말과 과격한 의론으로써 당시의 금기에 저촉하는 일을 조금도 꺼리지 않았다. 때로는 무악()에 올라가 통곡하기도 하고 남포()에서 낚시질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신영희()·홍유손() 등과 죽림거사()를 맺어 술과 시로써 마음의 울분을 달래었다. 산수를 좋아하여 국내의 명승지에 발자취가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한편으로 “해와 달은 머리 위에 환하게 비치고, 귀신은 내 옆에서 내려다본다.”는 경심재명()을 지어 스스로 깨우치기도 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금기에 속한 박팽년()·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6인이 단종을 위하여 사절()한 사실을 「육신전()」이라는 이름으로 저술하였다. 문인들이 장차 큰 화를 당할까 두려워 말렸지만 죽는 것이 두려워 충신의 명성을 소멸시킬 수 없다 하여 『육신전()』을 세상에 펴냈다.

죽은 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으로 고담궤설()로써 시국을 비방했다는 이유로 그 아들을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이듬해에는 윤필상() 등이 김종직을 미워한 나머지 그 문인이라는 이유로 미워하여 시문을 간행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 때에는 소릉 복위를 상소한 것을 난신()의 예로 규정하여 부관참시() 당하였다.

1511년(중종 6) 참찬관() 이세인()의 건의로 성현()·유효인()·김시습 등의 문집과 함께 비로소 간행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1513년 소릉 복위가 실현되자 신원되어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1782년(정조 6)에 다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세상에서는 원호()·이맹전()·김시습·조려()·성담수() 등과 함께 생육신으로 불렀다.

고양의 문봉서원(), 장흥의 예양서원(), 함안의 서산서원(西), 영월의 창절사(), 의령의 향사()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추강집()』·『추강냉화()』·『사우명행록()』·『귀신론()』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남효온 [南孝溫]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