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째 이미지 새창
  • 2번째 이미지 새창

탄옹집 (炭翁集)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판매가격 5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탄옹집 [炭翁集]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권시()의 시문집.

1738년(영조 14) 공주의 도산서원()에서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12권 7책. 목판본.

권1·2에 시 344수, 권3에 소 22편, 권4에 경연강의() 1편, 서연강의() 5편, 권5∼8에 서() 191편, 권9·10에 잡저 26편, 권11에 한거필설() 3편, 권12에 제문 39편, 묘갈명 11편, 부록으로 가장()·지문()·묘표·치제문·제문·봉안제문·축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논대동삼세소()」는 대동삼세()의 부세()가 너무 편중하여 민간의 고난이 극심하고 원성이 높으니, 부세와 형벌을 경감해 백성들을 안정시켜야 한다며 그 폐해를 논하고 시정을 촉구한 글이다. 「논병량소()」는 당시 겨우 전흔()을 씻고 평화 시기가 되었으나 전쟁의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으니,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병량()을 비축해야 함을 언급하면서, 그러나 그보다 민력()을 키우는 것이 급선무라고 역설하였다. 그밖에도 사직소를 제외하고는 백성의 어려운 형편을 덜어 주려는 뜻에서 올린 소가 대부분이다.

「경연강의」는 경연에서 『대학연의()』를 강론하던 중, 북제()의 조정()이 곡률광()을 죄를 씌워 죽였고, 당나라 위징()이 비방을 받았다는 사실()을 들어, 참간()의 두려움을 논한 글이다. 「서연강의」는 왕세자에게 『논어』·『맹자』 등 경전을 강론하면서 존심()과 양성()으로 심성()을 바르게 하고 추기급인()해 인정()을 베풀어야 한다고 강의한 내용이다.

서()는 사우간에 경전의 훈고()와 성리학의 논변, 의례()에 대한 논구 등에 관해 주고받은 편지가 대부분이다. 이 가운데 「상잠야선생서()」는 스승인 박지계()가 인심()·도심()은 아직 미발시()에 이미 두 마음이 상대적으로 생긴 것이라고 한 데 대해, 『서경』의 인심·도심은 이발()한 뒤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해 올린 편지이다. 송시열()에게 보낸 「여송영보()」는 예송()에서 기년설()을 반대하고 삼년설()을 주장하다가 죄인으로 몰려 죽게 된 윤선도()를 구원하려는 뜻에서 보낸 편지로, 저자의 처신과 당시 당쟁의 일면을 엿보게 하는 자료다.

잡저는 주로 예설()로서,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인지 거의가 복제() 등에 관한 것이다. 「수감자경지()」는 경전을 읽다가 스스로 경계 삼을 만한 것을 골라서 기록한 뒤에 그것을 옆에 두고 좌우명으로 삼은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탄옹집 [炭翁集]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